1XX : Informational responses
- 요청을 받았으며 프로세스를 계속함
2XX : Successful responses
- 요청을 성공적으로 받고, 인식하고, 수용했음
200 (OK) : 요청이 성공적이라는 의미. 정보는 요청에 따른 응답으로 반환됨
201 (Created) : 요청이 성공적이었으며, 그 결과로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되었음. 대개 POST, PUT일 때 사용됨
204 (No Content) : 요청을 성공적으로 처리했지만 컨텐츠가 없음. 헤더는 의미있을 수 있음.
3XX : Redirection messages
-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해 적절한 위치를 제공하거나 대안의 응답을 제공
301 (Moved Permanently) : 요청한 리소스의 URI가 일시적으로 변경됨. 변경된 RUI 정보와 함께 응답
304 (Not Modified) : 이전의 요청과 비교하여 달라진 것이 없음. 캐시를 목적으로 사용
4XX : Client error responses
- 클라이언트의 잘못된 요청
400 (Bad Request) : 잘못된 문법으로 요청을 보내고 있어 서버가 이해할 수 없음
401 (Unauthorized) : 요청을 위해 권한 인증이 필요함 (비인증 상태)
403 (Forbidden) :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컨텐츠에 대해 접근할 권리가 없음 (신원 인증은 되었지만 권한이 없음)
404 (Not Found) : 요청한 리소스를 찾을 수 없음. 브라우저에서는 알려지지 않은 URL 의미
405 (Method Not Allowed) : 클라이언트가 보낸 메소드가 해당 URI에서 지원하지 않음
406 (Not Acceptable) : 클라이언트 요청에 대해 응답할만한 컨텐츠가 없음
408 (Request Timeout) : 요청 응답 시간이 오래 걸려 요청을 끊음
429 (Too Many Requests) : 클라이언트가 지정된 시간에 너무 많은 요청을 보냄
5XX : Sever error responses
- 정상적인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해 서버의 문제로 응답할 수 없음
500 (Internal Server Error) : 서버의 문제로 응답할 수 없음
502 (Bad Gateway) : 서버 위의 서버에서 오류가 발생함. Proxy나 Gateway 등에서 응답
503 (Service Unavailable) : 현재 서버가 일시적으로 사용이 불가함
504 (Gateway Timeout) : 서버가 다른 서버로 요청을 보냈으나 delay가 발생하여 처리가 불가능함
참고
https://hocheon.tistory.com/68
https://www.whatap.io/ko/blog/40/
https://evan-moon.github.io/2020/03/15/about-http-status-code/
'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Unit test - Test Double과 Mockito (0) | 2023.03.01 |
---|---|
Jenkins pipeline (Declarative pipeline) (0) | 2022.12.29 |
Jira로 협업하기 - 용어 정리 (0) | 2022.12.08 |
정규표현식(Regex)에 대해 알아보자 - 문자클래스 (0) | 2022.10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