프로젝트를 배포하는 방식이 다양하지만 도커를 연습해보는 용으로 매우 간단하게 진행해본다. 1. 배포 파일(jar, war) 만들기 Intellij를 사용하는 경우, Gradle tab > Tasks > build > bootJar/bootWar로 jar/war파일을 만들 수 있다. build 전 clean하는 것은 잊지 말자. 생성된 배포 파일은 /build/libs 폴더 안에 있다. 2. 서버에 도커 이미지 만들기 도커 이미지를 만드는 방법은 로컬에서 도커 이미지 생성 후 DockerHub에 올려서 서버에서 다운 받기 Dockerfile 만들고 빌드해 이미지 생성하기 두 가지가 있는데 2번 방법으로 진행했다. 먼저 서버에 배포 파일을 올리고, 동일한 위치에 Dockerfile을 생성했다. FROM op..
1XX : Informational responses 요청을 받았으며 프로세스를 계속함 2XX : Successful responses 요청을 성공적으로 받고, 인식하고, 수용했음 200 (OK) : 요청이 성공적이라는 의미. 정보는 요청에 따른 응답으로 반환됨 201 (Created) : 요청이 성공적이었으며, 그 결과로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되었음. 대개 POST, PUT일 때 사용됨 204 (No Content) : 요청을 성공적으로 처리했지만 컨텐츠가 없음. 헤더는 의미있을 수 있음. 3XX : Redirection messages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해 적절한 위치를 제공하거나 대안의 응답을 제공 301 (Moved Permanently) : 요청한 리소스의 URI가 일시적으로 변경됨. 변경된 ..
용어 정리 스프린트 : 반복적인 개발 주기. 계획 > 개발 > 리뷰 까지가 1스프린트 이슈 : 보드 내 생성된 작업 에픽 : 여러 번의 스프린트를 거쳐 완료되는 정도의 업무. 스토리를 묶은 상위 개념 → 기능에 대해 정의만 (ex. 배너기능 추가/개선) 스토리 : 최소 단위의 요구사항. (ex. 사용자는 거래처 상세에서 일별, 월별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.) 작업(태스크) : 하나의 스토리를 완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작업(디자인, 기술 검토, 개발, 문서화) 버그 : 테스트나 운영 중 발생한 이슈를 리포팅 하위 이슈 : 하나의 스토리나 작업을 여러 개의 세부 작업으로 나눌 때 사용하는 하위 작업 왼쪽 사이드바에는 스프린트, 이슈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이 세 가지가 있다. 1) 로드맵 전체 스프린트와 ..
쿠버네티스는 도커에서 사용되는 컨테이너를 편리하게 관리해주는 오픈소스 플랫폼 선언적 구성과 자동화를 용이하게 해줌 구성 요소 control plane kube-apiserver :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로 들어오는 요청을 가장 앞에서 접수하는 역할 etcd(엣시디) :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동작하기 위한 정보(구성 정보, 상태 정보, 명세 정보 등)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소. key-value 형태로 저장됨 kube-scheduler : 새로 생성된 파드를 감지하여 어떤 노드로 배치할 지 결정하는 작업(스케줄링)을 담당 kube-controller-manager : 컨트롤러의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지 관리하는 컴포넌트 다운된 노드가 없는지, 파드가 복제한 수를 유지하고 있는지, 서비스와 파드가 적절하게 유지되..